90년대 말부터 본격화된 전국 대학의 귀금속보석 관련학과 신설 붐은 2005년 현재 전국 50개 대학 55개 학과로
조사되었다.
년간 이들 대학을 통해 배출되는 예비 업계인도 3,000여명에 달해 앞으로 업계 차원의 관심과 취업대책이 절실함이
밝혀졌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들어 각 대학들이 학생모집에 어려움을 겪자(특히 지방 대학) 나름대로 과를 특성화하면서
대외적인 이미지가 좋은 귀금속보석 관련학과를 선호하게 된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또한 금속공예나 공예, 산업디자인, 디자인 학과 등의 기존학과들도 상대적으로 학생모집이 수월하고 든든한
산업기반이 있어 취업이 상대적으로 나아보이는 귀금속, 보석 관련학과로 변경을 경쟁적으로 시도해왔다.
또한 동신대학교와 가야대학교, 대구공업대학, 대구과학대학 등은 귀금속 관련학과 신설로 성공을 거두자 관련
전공을 추가적으로 개설한 경우이며 이밖에 인하공업전문대학도 두개의 관련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만해도 광주대학교 문화조형학부 귀금속보석디자인 전공과 우송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등이 신설되었다.
정규 대학(교) 뿐만아니라 국민대학교 주얼리디자인센타, 일산직업능력센타, 대전직업전문학교, 익산 직업전문학교 등 1년과정 전문교육 과정도 전국적으로 산재해 있다.
또한 각 대학별로 평생교육과정도 최근 활발하게 개설되고 있어 일부에서는 과열 현상으로까지 얘기하고 있다.
이들 과정은 서울산업대학교 최고전문가과정, 경기대학교 보석마케팅 창업과정, 부산대학교의 주얼리 CEO과정 등이다.
이밖에 국자자격 보석감정사 시험을 비롯해 외국계 보석감정자격인 GIA, MV, IGI, EGL 등을 통해 업계 입문하는 경우와 아우룸, JDMI, 마에스트로주얼리아카데미, 동아주얼리아카데미 등의 디자인 전문교육학원을 통해 업계에 입문하는 경우, 국제보석연구원, 한국보석학원, 김종목귀금속세공학원 등 일선 보석감정학원, 세공학원 등을 통해 업계에 입문하는 경우 등을 종합해 볼때 중복되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년간 약5,000여명의 예비 업계인이 귀금속 보석업계의 문을 두드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더하여 일본 히꼬미즈노, 미국 GIA, FIT, 이태리 관련 디자인 학과를 졸업한 유학파들까지 따지면 현재 업계의 인력
공급은 지나치게 과잉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잉 인력공급은 심각한 취업난과 회사의 복리후생 등에 큰 문제를 야기시킨다. 특히 보석감정 부문과 디자인 부문은 취업난이 가장 취약한 곳이기도 하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년간 배출 예비 업계인의 약 10%-20% 가량만이 업계에 적응해 꾸준히 자리를 잡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 가야대학교(고령캠퍼스) 보석귀금속재료학과 4년 50명
2 가야대학교(김해캠퍼스) 보석귀금속 감정디자인학과 4년 50명
3 강릉영동대학 귀금속세공디자인과 2년 40명
4 경기대학교 장신구디자인전공 4년 20명
5 경북과학대학 귀금속보석디자인과 2년 60명
6 경성대학교 금속 & 주얼리디자인전공 4년 15명
7 계명대학교 공예디자인과 4년 40명
8 계명문화대학 산업디자인과 2년 80명
9 공주대학교 주얼리디자인전공 4년 20명
10 광주대학교 귀금속보석디자인전공 4년 25명
11 국민대학교 금속공예과 4년 25명
12 극동정보대학교 장신구,귀금속디자인전공 2년 40명
13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금속디자인전공 4년 20명
14 대구공업대학 보석감정,디자인과 2년 60명
15 대구공업대학 주얼리 악세사리디자인과 2년 60명
16 대구과학대학 보석감정과 2년 80명
17 대구과학대학 보석디자인과 2년 80명
18 대구대학교(경산캠퍼스) 공예디자인학전공 4년 40명
19 대구산업정보대학 보석감정과 2년 80명
20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경산캠퍼스) 공예디자인전공 4년 60명
21 대전보건대학 귀금속공예과 2년 90명
22 동덕여자대학교 공예전공 4년 40명
23 동명대학 쥬얼리,금속세공과 2년 40명
24 동신대학교 보석공학과 4년 53명
25 동신대학교 귀금속세공과 4년 130명
26 동의대학교 공예디자인전공 4년 23명
27 부산여자대학 보석감정 & 딜러과 2년 80명
28 부산정보대학 주얼리디자인과 2년 70명
29 서강정보대학 귀금속디자인과 2년 40명
30 서라벌대학 보석귀금속디자인과 2년 40명
31 서울산업대학교 금속공예디자인과 4년 80명
32 성신여자대학교 금속공예전공 4년 15명
33 숙명여자대학교 공예과 4년 40명
34 신라대학교 귀금속디자인전공 4년 70명
35 아시아대학교 패션쥬얼리디자인학과 4년 15명
36 안성여자기능대학 귀금속공예과 2년 45명
37 영남이공대학 뉴-테크디자인계열 2년 160명
38 예원예술대학교 귀금속보석디자인전공 4년 25명
39 우석대학교 장신구디자인전공 4년 20명
40 우송정보대학 산업디자인과 2년 60명
41 원광대학교 귀금속보석공예과 4년 40명
42 원광보건대학 귀금속보석디자인과 2년 120명
43 인덕대학 쥬얼리디자인전공 2년 120명
44 인하공업전문대학 공예디자인과 2년 120명
45 인하공업전문대학 금속재료과 2년 120명
46 장안대학 쥬얼리디자인과 2년 80명
47 제주관광대학 관광귀금속공예과 2년 30명
48 제주대학교 문화조형디자인전공 4년 30명
49 조선대학교 공예디자인전공 4년 35명
50 조선이공대학 귀금속보석과 2년 100명
51 중앙대학교(안성캠퍼스) 공예학과 4년 20명
52 청주대학교 금속공예전공 4년 15명
53 한국재활복지대학 귀금속디자인학과 2년 25명
54 한양대학교(안산캠퍼스) 금속디자인과 4년 40명
55 홍익대학교 금속조형디자인과 4년 40명
퍼옴: 귀금속경제신문
조사되었다.
년간 이들 대학을 통해 배출되는 예비 업계인도 3,000여명에 달해 앞으로 업계 차원의 관심과 취업대책이 절실함이
밝혀졌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들어 각 대학들이 학생모집에 어려움을 겪자(특히 지방 대학) 나름대로 과를 특성화하면서
대외적인 이미지가 좋은 귀금속보석 관련학과를 선호하게 된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또한 금속공예나 공예, 산업디자인, 디자인 학과 등의 기존학과들도 상대적으로 학생모집이 수월하고 든든한
산업기반이 있어 취업이 상대적으로 나아보이는 귀금속, 보석 관련학과로 변경을 경쟁적으로 시도해왔다.
또한 동신대학교와 가야대학교, 대구공업대학, 대구과학대학 등은 귀금속 관련학과 신설로 성공을 거두자 관련
전공을 추가적으로 개설한 경우이며 이밖에 인하공업전문대학도 두개의 관련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만해도 광주대학교 문화조형학부 귀금속보석디자인 전공과 우송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등이 신설되었다.
정규 대학(교) 뿐만아니라 국민대학교 주얼리디자인센타, 일산직업능력센타, 대전직업전문학교, 익산 직업전문학교 등 1년과정 전문교육 과정도 전국적으로 산재해 있다.
또한 각 대학별로 평생교육과정도 최근 활발하게 개설되고 있어 일부에서는 과열 현상으로까지 얘기하고 있다.
이들 과정은 서울산업대학교 최고전문가과정, 경기대학교 보석마케팅 창업과정, 부산대학교의 주얼리 CEO과정 등이다.
이밖에 국자자격 보석감정사 시험을 비롯해 외국계 보석감정자격인 GIA, MV, IGI, EGL 등을 통해 업계 입문하는 경우와 아우룸, JDMI, 마에스트로주얼리아카데미, 동아주얼리아카데미 등의 디자인 전문교육학원을 통해 업계에 입문하는 경우, 국제보석연구원, 한국보석학원, 김종목귀금속세공학원 등 일선 보석감정학원, 세공학원 등을 통해 업계에 입문하는 경우 등을 종합해 볼때 중복되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년간 약5,000여명의 예비 업계인이 귀금속 보석업계의 문을 두드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더하여 일본 히꼬미즈노, 미국 GIA, FIT, 이태리 관련 디자인 학과를 졸업한 유학파들까지 따지면 현재 업계의 인력
공급은 지나치게 과잉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잉 인력공급은 심각한 취업난과 회사의 복리후생 등에 큰 문제를 야기시킨다. 특히 보석감정 부문과 디자인 부문은 취업난이 가장 취약한 곳이기도 하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년간 배출 예비 업계인의 약 10%-20% 가량만이 업계에 적응해 꾸준히 자리를 잡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 가야대학교(고령캠퍼스) 보석귀금속재료학과 4년 50명
2 가야대학교(김해캠퍼스) 보석귀금속 감정디자인학과 4년 50명
3 강릉영동대학 귀금속세공디자인과 2년 40명
4 경기대학교 장신구디자인전공 4년 20명
5 경북과학대학 귀금속보석디자인과 2년 60명
6 경성대학교 금속 & 주얼리디자인전공 4년 15명
7 계명대학교 공예디자인과 4년 40명
8 계명문화대학 산업디자인과 2년 80명
9 공주대학교 주얼리디자인전공 4년 20명
10 광주대학교 귀금속보석디자인전공 4년 25명
11 국민대학교 금속공예과 4년 25명
12 극동정보대학교 장신구,귀금속디자인전공 2년 40명
13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금속디자인전공 4년 20명
14 대구공업대학 보석감정,디자인과 2년 60명
15 대구공업대학 주얼리 악세사리디자인과 2년 60명
16 대구과학대학 보석감정과 2년 80명
17 대구과학대학 보석디자인과 2년 80명
18 대구대학교(경산캠퍼스) 공예디자인학전공 4년 40명
19 대구산업정보대학 보석감정과 2년 80명
20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경산캠퍼스) 공예디자인전공 4년 60명
21 대전보건대학 귀금속공예과 2년 90명
22 동덕여자대학교 공예전공 4년 40명
23 동명대학 쥬얼리,금속세공과 2년 40명
24 동신대학교 보석공학과 4년 53명
25 동신대학교 귀금속세공과 4년 130명
26 동의대학교 공예디자인전공 4년 23명
27 부산여자대학 보석감정 & 딜러과 2년 80명
28 부산정보대학 주얼리디자인과 2년 70명
29 서강정보대학 귀금속디자인과 2년 40명
30 서라벌대학 보석귀금속디자인과 2년 40명
31 서울산업대학교 금속공예디자인과 4년 80명
32 성신여자대학교 금속공예전공 4년 15명
33 숙명여자대학교 공예과 4년 40명
34 신라대학교 귀금속디자인전공 4년 70명
35 아시아대학교 패션쥬얼리디자인학과 4년 15명
36 안성여자기능대학 귀금속공예과 2년 45명
37 영남이공대학 뉴-테크디자인계열 2년 160명
38 예원예술대학교 귀금속보석디자인전공 4년 25명
39 우석대학교 장신구디자인전공 4년 20명
40 우송정보대학 산업디자인과 2년 60명
41 원광대학교 귀금속보석공예과 4년 40명
42 원광보건대학 귀금속보석디자인과 2년 120명
43 인덕대학 쥬얼리디자인전공 2년 120명
44 인하공업전문대학 공예디자인과 2년 120명
45 인하공업전문대학 금속재료과 2년 120명
46 장안대학 쥬얼리디자인과 2년 80명
47 제주관광대학 관광귀금속공예과 2년 30명
48 제주대학교 문화조형디자인전공 4년 30명
49 조선대학교 공예디자인전공 4년 35명
50 조선이공대학 귀금속보석과 2년 100명
51 중앙대학교(안성캠퍼스) 공예학과 4년 20명
52 청주대학교 금속공예전공 4년 15명
53 한국재활복지대학 귀금속디자인학과 2년 25명
54 한양대학교(안산캠퍼스) 금속디자인과 4년 40명
55 홍익대학교 금속조형디자인과 4년 40명
퍼옴: 귀금속경제신문